728x90

분류 전체보기 350

설계도면이나 공사시방서에 설계되었고, 필수 자재가 공사원가 산출 시 재료비가 누락되었을 경우 설계변경

제 목 : 설계도면이나 공사시방서에 창호공사가 설계되었고, 동 자재가 필수 자재임에도 공사원가 산출 시 재료비가 누락되었을 경우 설계변경과 계약금액 조정 가능 여부 [내용] 1. 개요 ① 창호공사 원가를 산출함에 있어 ‘시공비’는 표준품셈을 활용하여 산출하면서 청호공사에 필요한 ‘자재비’는 누락시킨 상태에서 공사를 발주하였고 ② 산출내역서를 작성하면서 발주기관의 원가계산과 같이 시공비는 계상하였으나 자재비가 누락된 창호공사의 자재비에 대하여 설계변경 가능한지 문의합니다 ※ 설계서 현황 - 설 계 도 면 : 창호상세도(A64-021) THK 24㎜ LOW-E PAIR GLASS - 물량내역서 : 창호유리 설치/복층유리, 유리 두께 24㎜ 이하 - 공사시방서 : 시공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한다 설계도면이..

설계변경 2022.03.30

설계서에 강재 사용기간 표기없고, 공사기간 연장(4개월)에 따른 강재손료에 대한 설계변경 방법은?

제 목 : 설계서에 강재 사용기간 표기없고, 공사기간 연장(4개월)에 따른 강재손료에 대한 설계변경 방법은? 발주기관에서 제공한 설계서 등에 강재 사용기간이 표기되지 아니하였고, 공사 기간이 연장(당초 6개월, 변경 10개월)하는 공사의 강재 손료 설계변경 방법에 대하여 발주기관에서는 현장설명도 하였고, 설계서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증가하여도 손료 변경은 불가하다. 계약상대자는 발주기관이 제공한 설계서 등에 강재 사용기간이 표기되지 아니한 것은 설계서 불분명에 해당하므로 강재 손료 설계변경은 가능하고,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손료도 변경되어야 한다. [검토 방법] 가. 설계서 조사 1) 현장설명서 : 없음 2) 공사시방서 : 없음 3) 설계도면 : 없음 4) 물량내역서 - 공종에 ‘강재 손료‘라..

설계변경 2022.03.30

설계변경 자문 건에 대하여

00도서관 설계변경 검토 결과 요약 (2022. 3.00) 1. ‘설계변경당시’를 명확하게 정리 - 설계변경당시란 : 3가지 조건이 있음 ※ 작업지시를 한 때, 설계도면을 승인한 때, 우선 시공하기로 합의한 때 ☞ 실정보고 시점이 22년 3월이면 증가되는 물량 및 신규비목에 대한 단가 산출을 위한 모든 자료는 3월 기준(자재비, 노임, 상반기 품셈 등)를 적용하여야 함 - 자재비 가격 재 조사 필요 • 강재 및 철근 가격이 인상되었음에도 지난해 가격을 적용한 것은 수정 필요 ※ 기타 가격도 유사한 사례 다수 발견 - 2022년도 상반기 표준품셈 적용 • 금회 실정보고 건은 22년 상반기 표준품셈 적용 󰋻 대상 : 증가물량, 신규비목 2. 증가되는 물량 및 신규비목에 대한 단가 적용 - 물량 증가되는 사유..

설계변경 2022.03.30

4-3-5 식재(흉고 직경)('19년 보완) 관련

표준품셈 관련 문의(제4장 조경공사 4-3-5) 신청번호 2201-017 신청일 2022-01-05 질의부분 공통 제4장 조경공사 )4-3-5 식재(흉고 직경) 표준품셈 공통부문 4-3-5 식재(흉고 직경)('19년 보완) 관련입니다. "[주]② 재료 소운반, 터파기, 나무세우기, 묻기, 물주기, 지주목세우기, 뒷정리 작업을 포함한다." 위의 내용 중 "지주목 세우기 작업"의 경우 지주목 자재비도 본 품에 포함인 것인지 아니면 지주목 자재비는 별도 계상인지 문의드립니다. 답변내용 표준품셈 공통부문 "4-3-5 식재(흉고직경)"의 '주2.'에서는 본 품의 작업범위를 명시하고 있으며, 재료비(지주목 자재비 등)은 별도 계상하시기 바랍니다.

구강재 사용 시 손료 계산기준 질의

구강재 사용 시 손료 계산기준 질의 신청번호 2201-020 신청일 2022-01-05 질의부분 공통 제2장 가설공사 2-2-1 주요 자재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분 2-2 손율과 관련 질의드립니다. ④강재의 손료 산정 방법 손료 = 강재 수량×(1+재료의 할증률)×신재 단가×손율 [질 의] 구강재(재사용 강재) 사용 시 손료 산정기준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이견이 있어 질의드립니다. 갑설) 손료 = 강재 수량×(1+재료의 할증률)×신재 단가×손율 구강재를 사용할 경우에도 신재단가를 적용하여 손료 산정 을설) 손료 = 강재 수량×(1+재료의 할증률)×고재 단가×손율 고재의 잔존가(3개 이상의 견적가)를 적용하여 손료 산정 병설) 건설공사 표준품셈에는 고재를 사용할 경우의 손료 산정 방법은 별도로 정하고 있..

건설기계 노무비의 할증 적용 유무

건설기계 노무비의 할증 적용 유무 문의드립니다 신청번호 2201-019 신청일 2022-01-05 질의부분 설비 제9장 기타공사 9-2-1 바탕만들기 기계설비 9-2-1 바탕만들기 항목에 고소작업에 따른 도장공, 보통인부는 할증을 적용했는데 공기압축기(이동식)의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일위대가에 적용하다 보니 사실상 경비성 항목인데, 이 부분도 노무비 항목을 고소작업에 따른 할증을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내용 표준품셈 "1-4-3 품의 할증"에서 '품의 할증은 인력품 적용이 원칙이나 작업능률 저하로 인해 건설기계의 사용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 기계 품에도 적용 가능하다.'로 정하고 있으며, 건설기계의 작업능률 저하로 인해 사용 시간이 늘어나 기계 품의 할증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되는 품을 기계장..

철골 가공 조립(공장생산)의 built-up제작 관련

건축/철골공사 중 철골 가공 조립(공장생산)의 built-up제작 관련 질의드립니다. 신청번호 2201-012 신청일 2022-01-04 질의부분 건축 제1장 철골공사 1-1-1 기본 철골공 수 표준품셈상 철골 가공조립(공장생산) 기본 철골공 수는 전용접부재(built-up) 제작을 기준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요, 위 품에는 후판을 사용하여(절단 및 용접) H형강 형태로 만드는 작업까지 포함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내용 표준품셈 건축부문 "1-1-1 기본 철골공 수"에서 전용접부재(Built up)는 철판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며, H형강부재(Rolled shape)는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생산된 형강제품을 말합니다. 강판을 가공 제작하는 H형강은 전용접부재에 해당됩니다.

위생기구 설비공사 안전손잡이 설치 관련

제7장 위생기구 설비공사 안전손잡이 설치 관련 질의 신청번호 2201-009 신청일 2022-01-03 질의부분 설비 제7장 위생기구 설비공사 7-1-9 욕실금구류 설치 2022년에 7-3-4 안전손잡이 설치가 추가되었는데요 고정단 2개~6개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내용 표준품셈 기계설비부문 "7-3-4 안전손잡이 설치"에서 고정단은 안전손잡이 고정하기 위해 위해 벽이나 바닥에 설치되는 지점으로, 구멍 뚫기, 칼블록 설치, 금구류 설치, 볼트 설치 등을 통하여 고정됩니다.

잡철물 제작 및 설치

잡철물 제작 및 설치 신청번호 2201-005 신청일 2022-01-03 질의부분 건축 제8장 금속공사 8-4-1 각종 잡철물 제작 설치 잡철물 제작 설치에서 경량 철재와 일반 철재로 나뉘어져 있는데 경량 철재와 일반 철재 명확한 기준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내용 2022년 표준품셈 건축부문 "8-3-1 잡철물 제작 및 설치"에서 일반 철재는 일반강재를 사용한 기준이며, 경량 철재는 알루미늄 등 경량인 철재를 사용하였을 경우 기준입니다.

경량형강 철골조 조립설치

경량형강 철골조 조립설치 신청번호 2112-078 신청일 2021-12-31 질의부분 건축 제1장 철골공사 1-4-4 경량형강 철골조 조립 설치 경량형강 철골조 조립 설치 데크하부(멍에, 장선, 기둥 등)설치를 위해 경량형강 철골조 조립설치 품을 적용하려고 합니다. 주4) 먹매김, 가공, 조립 설치 품이 포함되어 있다.에서 용접작업 또한 포함된 품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내용 표준품셈 건축부문 "1-4-4 경량형강철골조 조립설치"는 공장에서 생산된 건축구조용 표면처리 경량형강을 철골세우기(스틸하우스 등) 기준으로 제시된 것이며, 공장에서 제작된 경량철골조를 현장에서 가공, 조립, 설치하는 품으로 여기에서 가공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설치를 위한 금긋기, 절단, 구멍뚫기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용접 품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