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표준품셈 질의응답 59

단가산출서에 사용되는 체적환산계수(f)와 내역서에 입력되는 수량과의 관계

제 목 : 단가산출서에 사용되는 체적환산계수(f)와 내역서에 입력되는 수량과의 관계 신청번호 2306-054 신청일 2023-06-20 질의부분 공통 제1장 적용기준 1-3-7 체적환산계수 석산에서 사석반출 시 운반 단가산출서에 사용하는 f값을 구할 때 f=구하는 Q/기준이 되는 q=내역서에 입력되는 수량의 체적상태/사용되는 장비의 기계용량의 체적상태로 표준품셈 f값을 해석해서 단가산출서를 작성했는데 발주처에서는 표준품셈에 "내역서에 입력되는 수량의 체적상태/사용되는 장비의 기계용량의 체적상태"라는 구체적인 문구가 없어 설계자가 임의로 해석 판단하여 f값을 적용했다고 합니다. f값의 구하는 Q와 기준이 되는 q가 무엇인지 내역서 수량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십니까? ..

잡철물 제작 및 설치에 대한 질의

제 목 : 표준품셈 건축부분 8-4-1 잡철물 제작 및 설치에 대한 질의 신청번호 2306-028 신청일 2023-06-12 질의부분 건축 제8장 금속공사 8-4-1 각종 잡철물제작 설치 [질의내용] 안녕하세요 잡철물 제작 및 설치 품에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현장설치 : 완제품을 설치 - 규격철물설치 : 1차 제작된 일정 규격의 자재가 들어와 시공 - 현장제작 설치 : 현장 조건에 맞게 제작하고 설치할 경우 적용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1) 현 상황은 공장에서 스텐레스 6㎜ 절곡 및 밴딩, 폴리싱/ 스텐 3㎜ 레이저가공, 폴리싱을 진행하고, 현장에서 6㎜와 3㎜를 용접하여 설치하는데, 이 경우 규격철물 설치 품을 적용하고, 나머지 절곡 및 밴딩, 폴리싱, 레이저가공은 따로 가공비를 기입..

사토 운반거리 변경에 따른 공사비 산정

제 목 : 사토 운반거리 변경에 따른 공사비 산정 신청일 2009-06-19 신청번호 0906-031 [질의내용] 귀 원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본인은 00천 생태하천 복원사업(발주처:00시 재난관리과)의 공무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설계변경(사토 운반거리 변경)과 관련하여 질의하려 합니다. 당초 운반거리: 5km(사토장 미지정)로 설계되어 있으나, 설계 운반거리 내에 사토장이 없어 부득이 실정 보고하여 14.2㎞로 변경하고져 합니다. 위와 관련 평균 운반 속도 산정에서 발주자와 의견이 상충하여 질의합니다. 시공사 의견: 실비 산정기준에 따라 표준품셈에 준하여 운반속도를 00번 국도 구간을 평균속도(적재: 35㎞ 공차: 35㎞)로 산정함이 적합함. 발주처 의견: 평균속도(적재: 35㎞ 공차: 35..

덤프트럭 운반 도로 구분 질의

제 목 : 표준품셈에서의 덤프트럭 운반 도로 구분 질의 신청번호 2303-135 신청일 2023-03-28 질의부분 공통 제8장 건설기계 8-2-8 덤프트럭 당 현장은 자동차전용도로 진출입 램프 개설공사 현장으로 사토 발생에 따른 외부 발출이 필요한 현장입니다. 당초 사토장 및 운반로가 지정되어 있지 않아, 당초 운반로 전부가 변경되는 경우로 행정안전부 예규「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에 의거 변경된 운반거리를 변경 당시 품셈을 기준으로 산정한 단가와 그 단가에 낙찰률을 곱한 단가의 범위 안에서 계약당사자간에 협의하여 결정한 단가를 계약단가를 결정함에 있어, 질의 1) 사토운반 경로 중 국도3호선(자동차전용도로)에 대한 표준품셈 상 도로구분 및 평균주행속 도에 대한 질의입니다. 갑설) 품셈에서는..

보일러설치 품 작업구분중 '비계공' 해설

제목 : 보일러설치 품 작업구분중 비계공 해설 신청번호 2303-122 신청일 2023-03-23 질의부분 설비 제13장 플랜트설비공사 13-5-1 보일러설치 기계,설비공사 표준품셈 13-5. 화력발전 기계설비 13-5-1. 보일러설치 품 중 작업구분에 소운반, scaffolder 조립 설치 및 철거에 각각 비계공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소운반은 작업에 필요한 자재를 조양 위치까지 운반하는 작업이고, scaffolder 조립설치 및 철거는 용접, 검사, 위치조정등에 필요한 조립설치 작업인데 각각의 비계공 직종에 대한 해설 부탁드립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원가관리센터를 찾아주심에 감사드리며 귀 질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비계공은 건설협회에서 발표하는 건설업 ..

천장형 에어컨 철거 문의

제 목 : 천장형 에어컨 철거 문의 신청번호 2303-120 신청일 2023-03-23 질의부분 설비 제8장 공기조화설비공사 8-2-4 천장형에어컨 설치 해당 품셈의 비고란에 "다음 항목의 철거는 신설의 50%(재사용을 고려치 않을 경우)로 계상한다."로 나와 있습니다. 8-2-4 천장형에어컨설치를 적용 시 비고란을 보면 "본 품의 실외기는 실내기 1대 연결기준이며, 실내기 추가로 인해 실외기에 배관 접합이 추가되는 경우, 실내기 대당 실외기 품의 15%를 가산한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만약 실외기 1대에 실내기가 2대 연결된 천장형에어컨 철거시 15%를 가산후 설치의 50% 적용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십니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원가관리센터를 찾아주심에 감사드리며 귀 ..

철근 "공장가공 수량" 질의회신 변천?

철근 "공장가공 수량" 질의회신이 불과 1년 사이에 이렇게 변천하였습니다 22년 질의회신 : 전체 철근 조립 수량을 기준한다 23년 질의회신 : 가공을 하는 대상의 철근에 대하여 적용 제 목 : 철근 가공물량 산정 신청번호 2303-080 신청일 2023-03-16 질의부분 공통 제6장 철근콘크리트공사 6-2-4 공장가공 철근 공장가공 시 가공 수량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 6-2-2 현장 가공('08, '14, '22년 보완)(ton당) 의 항목은 " [주] ① 가공 수량은 전체 철근조립 수량을 기준한다." 에 의거하여 철근가공 수량을 철근 조립 수량을 기준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6-2-4 공장가공('08년 신설, '09, '22년 보완) (ton당)의 항목은 철근가공수량의 기준..

2023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 부문 '오류 사항 수정' 안내

2023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 부문 '오류 사항 수정' 안내 2023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토목부문 제6장 관부설 및 접합공사 6-6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359페이지) 6-6-1 소켓관 부설 및 접합 [주] ③ 크레인 규격은 다음을 참고하여 적용하며, 현장 조건(작업 범위, 위치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다음 사항중 아래표와 같이 일부 오타가 있어 향후 품셈 공고시 수정하겠다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질의응답이 있어 안내합니다 [당초] 구분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VR관 크레인 10ton급 800mm 이하 900mm 이하 크레인 15ton급 600mm 이상 700mm 이상 [조정 예정] 구분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VR관 크레인 10ton급 800mm 이하 600mm 이하 크레인 15to..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사항 세부 내용 안내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사항 세부 내용 안내 그동안 건설공사 표준품셈은 공통, 토목, 건축, 기계설비 등 네가지 부문으로 편제되었으나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을 개정하면서 각 부문(공통, 토목, 건축, 기계설비)별 유지관리항목은 하나의 ‘유지관리부문’을 신설하여 통합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것이 사용에 편리한 것인지는 건설기술인들의 판단에 있는 것 같습니다 ‘유지관리부문’의 구성 체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1장 공통 1-1 토공사 1-2 조경공사 1-3 철근콘크리트공사 제2장 토목 2-1 도로포장공사 2-2 궤도공사 2-3 교량공사 2-4 관부설 및 접합 제3장 건축공사 3-1 구조물철거공사 3-2 해체공사 3-3 칠공사 3-4 수선 및 보수공사 제4장 기계설비 4-1 일반기계설비 해체..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 안내

가.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분 제1장 적용기준이 대폭 개정되었으며, 나. 공통, 토목, 건축, 기계설비부문의 각 부문 ‘유지관리’ 사항을 별도 항목으로 '유지관리부문‘을 신설하여 일괄 편제 방법으로 개정되었습니다. 다. "도로분야 BIM설계용역 대가산정 기준(기본 및 실시설계)"도 신설되었습니다. 첨 부 : 1.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사항 2. 2023년도 건설공사 표준품셈 원문